본문 바로가기

JuHyang

검색하기
JuHyang
프로필사진 Ju_Hyang

  • 분류 전체보기 (51)
    • Android (20)
      • Theory (8)
      • Error (2)
      • Util (3)
      • RxAndroid (4)
      • TestCode (2)
    • Web (14)
      • html (2)
      • Vue.js (7)
      • After Develop (1)
      • Theory (1)
      • React.js (3)
    • Server (2)
      • Node.js (2)
    • Deep Learning (3)
      • Keras (2)
      • Theory (1)
    • CI :: CD (2)
    • Util (5)
    • iOS (2)
      • Swift (2)
      • WatchOS (0)
    • DDD (1)
    • 주저리 주저리 (1)
Guestbook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7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Tags
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  • 글쓰기
  • 방명록
  • RSS
  • 관리

목록Server (2)

JuHyang

MongoDB

https://velopert.com/436

Server/Node.js 2019. 12. 7. 22:53
피드백 서비스 Server 구현을 위한 Study

* (구현 조건) - TDD 방법론으로 개발한다 - 비동기 콜이 있다면 promise pattern을 사용한다 - HTTP mocking은 nock을 사용한다. - test code 작성은 mocha 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. - api는 REST API 디자인을 준수하여 개발한다. - ORM을 사용한다. - node.js image는 docker로 이미지를 말아 올린다. - gcp 내부에 kubernetes gke에 배포를 한다. https://programmingsummaries.tistory.com/325 promise pattern 관련 글 https://blog.outsider.ne.kr/770 mocha 라이브러리 https://blog.outsider.ne.kr/1064 TDD 방법론을 위한 N..

Server/Node.js 2019. 7. 15. 14:27
이전 Prev 1 Next 다음

Blog is powered by kakao / Designed by Tistory

티스토리툴바